그룹명:사회복지학/7..아동복지론

아동복지사업의 기능유형

천사사랑^^ 2010. 11. 3. 01:07

♠아동복지사업의 기능 유형♠

아동복지사업은 아동이 받게 되는 서비스의 기능이 가정에서 이루어지느냐 아니냐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아동복지사업은 아동과 부모 사이에 역할 수행의 불이행으로 빚어지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서비스로, 아동이 가정에서 양육될 수 있도록 부모역할을 지지해 주는 서비스냐, 부족하거나 부적절한 부모역할을 보충해 주는 서비스냐, 아동의 필요에 따라 부모양육을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대행․대리하여 보호해 주는 서비스냐에 따라 Kadushin이 제시한 지지적 서비스 (Supportive Servi ce)와 보완적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그리고 대리적 서비스(Substitute Service)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적 서비스(supportive services)

지지적 서비스는 부모와 아동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갈등상황을 처리할 수 있도록, 그들 각자의 책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족의 능력을 지원하고 강화시켜 주는 서비스이다. 다른 서비스와는 달리 아동이 자신의 가정에 머물러 생활하면서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며, 서비스의 기능은 부모나 아동의 역할을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구조를 침해하지 않고 외부에서 가족 내부의 역할기능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원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아동으로 하여금 가정에 머물면서 부모와의 좋은 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담서비스를 통해 가족들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부모-자녀관계의 긴장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방법이다. 자녀와 부모로서 가정을 이룬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미혼남녀에게 미리 부모 준비 교육 서비스를 행하여 근본적인 아동복지 사업을 하는 것도 포함한다. 지지적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아동복지 기관으로는 에비 부모에 대한 서비스를 통해 문제에 개입하는 가정복지기관과, 아동에 대한 서비스를 통해 문제에 개입하는 아동상담소가 있다. 지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는 개별상담, 집단상담, 가족치료, 지역사회조직 등의 방법이 활용되며, 지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는 아동상담소, 가정상담소, 지역사회 정신건강 상담소 등이 있다.

*보완적 서비스(supplementare services)

지지적 서비스는 가정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라면 보완적 서비스는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며, 부모들이 가진 역할의 일부를 대행해 주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지지적 서비스와 보조적 서비스는 상호 중복되는 측면이 있다. 보완적 서비스는 부모가 부족하거나 부적절한 부모의 역할을 보충해 주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부모의 역할의 일부를 보조받을 때, 부모는 다른 역할을 더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부모의 역할이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충분히 충족되지 못할 때 보완적 서비스가 필요하게 된다. 보완적 서비스에는 빈곤가정을 지원하는 생활보호 또는 아동수당, 보육사업, 홈메이커 서비스(Homemaker Service, 가사조력서비스), 장애아 등 복지사업, 보호사업 등이 있다.

*대리적 서비스(substitute services)

대리적 서비스는 아동의 필요에 따라 부모양육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대행, 대리하여 보호해 주는 서비스다. 즉 부모가 아닌 제 3자가 부모의 역할을 떠맡기 때문에 아동은 자신의 가정을 완전히 떠나서 다른 가족이나 양육자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혹은 영구적으로 보호를 받게 된다. 대리적 서비스의 방법으로는 가정위탁, 가정보호사업, 입양사업, 시설보호사업 등이 있다.